GiYeong

TCP/IP 4 계층 본문

CS/네트워크

TCP/IP 4 계층

gy2710 2022. 6. 27. 23:32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인터넷으로 통신하는데 있어 가장 기반이 되는 프로토콜이다.

대부분의 데이터 통신이 TCP와 IP 기반으로 이루어져있기에 인터넷 프로토콜을 대표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연결하는 체계를 Ethernet(이더넷)이라고 부른다.

 

계층 역할 데이터 단위 전송 주소 예시 장비
응용 계층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 Data/Message - 파일 전송, 이메일, FTP, HTTP, SSH 등 -
전송 계층 호스트 간의 자료 송수신 Segment Port TCP, UDP, RTP, RTCP 등 게이트웨이
인터넷 계층 데이터 전송을 위한 논리적 주소 지정 및 경로 지정 Packet IP IP, ARP, ICMP, RARP, OSPF 등 라우터
네트워크 연결 계층 실제 데이터인 프레임을 송수신 Frame MAC Ethernet, PPP, Token Ring 등 브리지, 스위치

 

1 Layer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 Network Interface Layer)

  • OSI 7 계층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한다.
  • 물리적인 주소로 MAC을 사용한다.
  • 물리적으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는지를 정의한다. (논리주소(IP 주소 등)이 아닌 물리 주소(MAC 주소 등)을 참조하여 장비 간 전송)
  • 기본적으로 에러 검출 / 패킷의 프레임화 를 담당한다.
  • 데이터 단위는 프레임이다.
  • LAN, 패킷망 등에 사용된다.
  • 프로토콜 : Ethernet, PPP, Token Ring 등

2 Layer -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 OSI 7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한다.
  • 통신 노드 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과 라우팅 기능을 담당한다.
  • 프로토콜 : IP, ARP, RARP 등

3 Layer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OSI 7 계층의 전송 계층에 해당한다.
  •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 데이터 단위는 Segment이다.
  • 프로토콜 : TCP, UDP 등

4 Layer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OSI 7 계층의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에 해당한다.
  •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계층으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어플리케이션간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 프로토콜 : FTP, HTTP, SSH 등

'CS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7 계층  (0) 2022.06.27
REST  (0) 2022.06.25
GET / POST  (0) 2022.06.24
HTTP / HTTPS  (0) 2022.06.24
TCP/UDP  (0) 2022.06.22
Comments